syntax Error 컴파일러가 문법상에서 오류가 나있을때 내는 에러. semantic Error 는 문법으로는 정상이지만 실행의 결과에 정상적인 수치를 나오지 못해게 하는것이 여기에 속합니다. 따라서 버그 연결요청에 쓰는 소켓이랑 통신을 위한 소켓은 엄연히 다르게 존재한다.****연결요청만 하는 소켓과 통신을 위한 소켓으로 나뉜다.소켓을 받을때는 구분없이 받는다. UDP는 안가면 안가고 가면 간다. 데이터의 경계가 존재한다. TCP는 반대로 쪼개서 갈수도 있고 데이터의 경계가 없다. echo_server.c (linux_C)#include#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BUF_SIZE 1024 void error_handling(char ..
네트워크 주소 변환(영어: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여서 NAT)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NAT를 편리한 기법이라고 보고 널리 사용하고 있다. NAT가 호스트 간의 통신에 있어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당연..
- Total
- Today
- Yesterday
- ps4
- 안산
- 애드센스
- razer
- Windows 10
- 마우스
- 일본여행
- javascript
- 고양이
- 디지몬
- 구글
- m5a97
- 보스
- Asus
- 아이폰X
- AMD
- 듀얼쇼크4
- 노트북
- 플스2
- 디지바이스
- 피규어
- 이어폰
- PS2
- 라이언
- 건담
- 카카오프렌즈
- 프로그래밍
- 프라모델
- 일본
- 윈도우즈 1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