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하분산 방식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 중 어떤것을 사용하여 어떤 서버로 할당해줄것인지 라고 요약할 수 있다.
부하분산 방식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정적 부하분산, 동적 부하분산
----정적 부하분산
정적부하분산은 사용자의 요청으로부터 서버 상태와 상관없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버에 할당해주는것이다.
단순하게 서버에 할당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정적 부하분산을 사용하는 방식에는
-라운드 로빈
-액티브 스텐바이
-가중치
- 라운드로빈은 균등하게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할당하는 방식이라 서버의 성능이 각각 다를때는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한다.
- 액티브 스텐바이 방식은 활성화 되어있는 서버에만 할당해주는 방식이긴한데, 서버 이중화에 관련한 기능이라고 보는 관점이 더 맞다고한다.
- 가중치는 서버별 요청을 받을 비율을 정해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동적 부하분산
동적 부하분산 방식은 사용자의 요청으로부터 서버 상태에 따라 할당하는 서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동적 부하분산을 사용하는 방식에는
- 최소 연결 수
- 최단 응답 시간
- 최소 부하
가 존재한다.
- 최소 연결 수 방식은 연결이 가장 적은 서버에 할당하는 방법
- 최단 응답 시간 방식은 가장 빨리 응답하는 서버에 요청을 처리하도록 부하하는 방법
- 최소 부하 방식은 SNMP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준으로 할당할 서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SNMP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의 정보를 관리하고 얻어내기 위한 프로토콜이고 부하분산장치가 이러한 SNMP를 통해 서버 상태를 수집하여 그를 바탕으로 서버의 부하도에 따라서 분산처리를 실행한다.
'IT Skills > 서버부하분산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부하분산장치의 서버상태감시&퍼시스턴스&어플리케이션 스위칭 (0) | 2017.09.17 |
---|---|
2. NAT 란? (0) | 2017.09.17 |
네트워크 분산에 대해서... 1. 개론 (0) | 2017.09.10 |
- Total
- Today
- Yesterday
- AMD
- 프라모델
- 안산
- 일본여행
- 보스
- PS2
- Asus
- 카카오프렌즈
- 일본
- 노트북
- 아이폰X
- m5a97
- 구글
- 마우스
- 디지바이스
- 고양이
- 라이언
- 이어폰
- ps4
- javascript
- 애드센스
- razer
- 프로그래밍
- Windows 10
- 피규어
- 디지몬
- 플스2
- 윈도우즈 10
- 건담
- 듀얼쇼크4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