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준비물을 모두 구했다. 1. 플스를 셋팅해보자 개조라고 할필요도없다 이 두녀석을(위에녀석이 네크워크어댑터/밑에가 하드디스크) 합체시킨후 다시 플스2와 트리플 합체!!! 2.ps1시디를 이용해서 titleman.db를 만들어보자 앞에 내가 준비해두라고 했던 titleman.exe가 기억나는가? 그녀석을 우선로컬디스크 C드라이브에 넣어두자 그리고 시작-실행-command-엔터 그럼 분명 C:\users\사용자이름> 이 보일것이다. 그럼 이제 'cd..' 를 한번 쳐보자 cd.. 라는 녀석을 치면 c:\users> 로 바뀔테다 그럼 한번더 'cd..' 를 한번 쳐보자 그럼 아마 c:\ 만 표시될거다 이제 titleman -c 쓴다음 엔터를 누른다. 이 상태에서 자신이 준비해온 ps1 정품시디를 한번 꺼내..
글을쓰기에 앞서 말하는데 불법복제는 좋은것아니다. 물론 이 세상에 한번도 안해본사람은 없겠지만 이글은 자신의 플스cd를 하드플스에 넣어서 렌즈의 손상을 줄이고 빠른 로딩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이라 해두겠다. 밤새버렸군;; 시간도 남겠다 하드플스와 Free Mc boot에 대해 설치법을 잘 몰라 해매는 사람들을 위해 글을한번 올려보려한다. 우선 필자는 깔끔한 준비를 좋아하는편이라 준비물을 미리 준비해보겠다 1. 네크워크 어댑터 이것은 꼭 필요한 부분임으로 하드플스를 만들려는 사람들에겐 필수다. Free mc boot만설치할 사람은 필요없다. 2. 메모리 카드 설마 없진 않겠지 3. 하드디스크 왠만한 E-IDE 형식이면 된다. 요즘 하드디스크는 Sata 방식이지만 구형 방식이라고 구하기 힘들진 않다. 4..
- Total
- Today
- Yesterday
- 플스2
- 듀얼쇼크4
- ps4
- razer
- Windows 10
- m5a97
- 보스
- 구글
- AMD
- 마우스
- 애드센스
- 일본
- 프라모델
- 디지몬
- javascript
- 고양이
- 윈도우즈 10
- 이어폰
- 안산
- 피규어
- 디지바이스
- 카카오프렌즈
- 건담
- 프로그래밍
- 일본여행
- 아이폰X
- 라이언
- PS2
- Asus
- 노트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