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8과 아이폰x가 발표된 지금, 그래도 기념해서 한번 포스팅을 해봐야싶습니다. 사실 성능상 아이폰이든 안드로이드진영이든 이미 오래써도 배터리문제만 없다면 일반적인 사용에 문제없을 사양으로 올라갔기때문에 아이폰7이 개인적으로 지금 형태의 아이폰에서 제일 완전체라고 생각했지만, 아이폰8과 비교해보면 아이폰7에서 보강해야할 부분을 또 보강해서 나온것같습니다. 매번 전작에 비해서 소소한 보강이 이루어지는 듯한 아이폰은.. 어쩌면 애플에서 한발 늦게 하나하나 추가해서 신작에 넣을 껀덕지를 하나라도 더 남겨두려는건 아닌가,, 우려스럽습니다. 아무튼 아이폰8과 아이폰7, 뭐가 다른걸까요.성능이런이야기는 사실 일반적인 사용자가 크게 느끼기어렵고, 그렇다면 체감상 느낄수있는 부분은 어떤게 있을지 정리해보려고합니다. ..
@ 부하분산장치의 서버 상태 감시 기능 부하 분산 장치가 서버 부하 분산을 해주는건 맞지만, 분산하고있는 서버가 만약 장애 상태인지 판별을 못하고 보낸다면 아무 쓸모 없을 것이다.이러한 이유로 서버 부하 분산 장치는 서버의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도 제공하고있다. 서버 감시 기능은 OSI 7계층의 L3 체크, L4체크, L7체크로 나눌 수 있다. 당연히, L7 계층(어플리케이션 응용 계층)이 제일 많은 정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상태를 감시하는데 제일 세심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L3 체크L3체크는 네트워크 계층임으로 당연히 IP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이다.ICMP 프로토콜의 ping 을 사용해 서버가 제대로 응답을 하는지 확인 한다. --L4 체크L4체크는 전송계층이다. TC..
부하분산 방식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 중 어떤것을 사용하여 어떤 서버로 할당해줄것인지 라고 요약할 수 있다. 부하분산 방식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정적 부하분산, 동적 부하분산 ----정적 부하분산정적부하분산은 사용자의 요청으로부터 서버 상태와 상관없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버에 할당해주는것이다.단순하게 서버에 할당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쉽다.정적 부하분산을 사용하는 방식에는-라운드 로빈-액티브 스텐바이-가중치 - 라운드로빈은 균등하게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할당하는 방식이라 서버의 성능이 각각 다를때는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한다.- 액티브 스텐바이 방식은 활성화 되어있는 서버에만 할당해주는 방식이긴한데, 서버 이중화에 관련한 기능이라고 보는 관점이 더 맞다고한다.- 가중치는 서버별 요청을 받을 비율을..
서버 부하분산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목적지 NAT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에대한 부분을 자세히 알아보자. NAT라는것은? 패킷의 네트워크 주소, 즉 IP주소를 변환하는 기술이다.NAT를 사용하면 IP주소 수를 줄이거나 거점 간 중복된 IP주소를 통해 통신가능하다. 라우터나 방화벽 등, 요즘날에는 공유기에서도 가능한게 NAT이고 --아주 간단하게 일반인이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으로 이야기하면하나의 KT와 같은 내려준 회선에서 제공된 아이피를 내부 네트워크망을 만들어 여러개의 아이피로 만들고, 분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여기서 여러개의 아이피로 만드는 것이 사설 네트워크라고 생각하면된다. 실상 우리들이 와이파이나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들은하나의 아이피에서 사설 네트워크를 만들어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주고 ..
- Total
- Today
- Yesterday
- Windows 10
- 듀얼쇼크4
- 애드센스
- 피규어
- 구글
- 일본여행
- 일본
- 이어폰
- 디지바이스
- 안산
- ps4
- 라이언
- javascript
- 아이폰X
- razer
- 윈도우즈 10
- AMD
- 디지몬
- 고양이
- 플스2
- 노트북
- 보스
- 카카오프렌즈
- m5a97
- 건담
- 마우스
- 프라모델
- 프로그래밍
- PS2
- Asu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